간호사 국가고시를 합격하고 모두 똑같은 곳에서 똑같은 일을 하는 건 아니죠
오늘은 주변에서 많이 보이지만 생각보다 종류가 다양한 간호사의 세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문간호사>
가장 많이 알고계시는 전문간호사는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간호사입니다
전문간호사란 일반 간호사와는 차별화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특정 분야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를 말합니다. 복잡한 질환을 가진 환자나 특별한 요구가 있는 환자에게 더 깊은 케어를 제공합니다.
전문간호사가 되려면 간호사로 3년간의 경력이 필요하고 10년이 넘어서는 안됩니다.
이후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에서 2년이상 전문교육을 받는데 교육 이수 후 1차 필기, 2차 실기 시험을 마쳐야 합니다
총 13개의 분야가 있으며 가정간호, 감염관리, 노인, 마취, 산업, 응급, 정신, 종양, 중환자, 호스피스, 아동, 임상간호, 보건 이렇게 있는데 보통 대학원 진출을 많이 하기 때문에 지식이 풍부하고 기술도 뛰어난 간호사가 될 수 있습니다
<기업간호사>
꼭 병원에 취직하지 않더라도 항공, 보험심사, 연구, 산업간호사처럼 기업에 진출하는 간호사도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큰 기업일수록 산업간호사를 꼭 두어야하기 때문에 수요도 늘고 있습니다. 기업의 근로자가 50명 이상인 사업장에는 의무적으로 보건관리자가 있어야하고 규모가 클수록 간호사를 많이 뽑는 편입니다. 특히 심사과에서도 간호사를 뽑는 추세라서 보건심사관리사 자격증을 따두는 것도 좋습니다 . 보험회사에서도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간호사 경력이 있는 사람을 서류심사할 때 많이 필요로 해서 보험회사쪽으로도 많이 가더라구요
특이한 케이스로는 잘 없지만 의료소송 전문으로 하는 법률사무소나 변호사사무실로도 취직하는 경우도 봤어요.
제가 예전에 잠깐 일했었던 CRA 도 서울쪽에서는 많이 뽑더라구요. 보통 CRA는 외국회사에 많이 취직을 하고 처음에는 CRC(연구간호사)로 경력을 쌓은 뒤 스카웃제의를 받거나 이직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임상간호사>
일반적으로 병원의 외래, 병동에서 일하는 간호사를 뜻하는데 병원의 규모에 따라 과는 적을 수도 많을 수도 있습니다
수술실간호사는 의사를 도와 수술을 어시스트 하고 수술기구 및 재료대들을 카운트 하는 등 전반적인 관리 및 업무를 진행하고 회복실간호사는 수술이 끝난 환자를 수술실에서 인계받아 마취가 안전하게 깰 수 있도록 상태를 체크합니다.
중환자실에서는 그 이후 집중적인 케어가 필요한 환자들의 상태를 살피고 필요한 간호를 진행합니다
정신과간호사는 심리적인 면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환자를 대하고 있고 소아과, 신생아실 등 특수파트에서는 각자의 분야에 더욱 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통해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수파트는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분만실, 신생아실, 투석실, 중앙공급실, 내시경실 등으로 나뉘어집니다
<공공기관 간호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혈액원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고 그다음으로 안전보건공단, 근로복지공단, 국민연금공단 등 다양한 곳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공무원>
기업간호사와는 별개로 간호직, 보건직, 소방직, 보건교사 시험을 통과해서 공무원이 되면 보건소, 보건지소, 학교 등에서 일하고 응급구조사로도 일할 수 있습니다
<강사/교수>
대학원까지 가는 경우 조무사 간호학원 강사 및 대학교 교수자리로도 많이 가시더라구요.
저희 대학교에서도 임상경력은 없지만 기업간호사, 산업간호사로 일하다가 교수로 임용되신 분도 계셨어요.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진로를 고민하고 있다면 본인만의 강점과 약점을 잘 생각해보고 맞는 분야에서 일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임상경력 3년정도는 기본으로 필요로 하는 곳이 많으니 그 점도 참고하세요.
저도 이직3번만에 제 성격과 장점에 맞는 자리를 찾은 만큼 여러분도 실패에 두려워말고 도전해보세요!
'간호사로 알아두면 좋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초기 입덧 심할 때 원인과 효과적인 완화 방법 (5) | 2025.08.18 |
---|---|
임상에서 알고 있으면 좋은 간호상식 (1)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