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사로 알아두면 좋을 정보

임상에서 알고 있으면 좋은 간호상식

by 갸비갸비 2023. 9. 13.

신규 간호사로 출근하게 되면 업무에 필요한 것들은 차차 익히면 되지만 

기초 용어들은 빨리빨리 외워두는 것이 좋아요.

 

병동마다 루틴 일들이 정해져 있어서 전반적인 흐름 파악하기는 쉽지만

신규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의학용어는 헷갈릴 수 있어요

 

주로 많이 쓰는 용어들부터 정리해볼게요

 

1. V/S : vital sign  활력징후 

보통 4가지를 측정하는데 체온, 혈압, 맥박, 호흡수를  측정해오면 되요 

학생 실습나갔을 때 주로 하는 일이니 익숙하겠죠? 

BT (body temperature, 체온),  BP(blood pressure, 혈압), PR(pulse rate, 맥박) , RR(respiratory rate, 호흡)

혈압은 중요 지표 중 하나라서 나중에 더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2. BST (blood sugar test) 혈당검사에요

보통 병원마다 쓰는 기계는 제각각 이지만 사용방법은 비슷하니 출근 시 빨리 익혀두면 좋아요

 

3. 투약관련

medication(약물) , order(처방), P.O med(경구약, "피오"라고 많이 불러요), injection(주사, 인젝이라고 많이 줄여서 얘기해요)

inhalation (흡입), nebulizer(흡입치료), placebo(위약, 가짜약 "플라시보" 라고 불러요) 

약물 투약방법 : IV (정맥내), ID(피내), SC(피하), IM(근육내), PO(경구), NG tube

약물 투약시간 : QD(하루1번), BID(하루2번), TID(하루3번), QID(하루4번), QOD(이틀에한번), AC(식전), PRN(필요시)

안약 점적 시 : OD(우측눈), OS(좌측눈), OU(양측눈)

 

보통 처방 시 6T # 2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6T를 하루 2번나눠서 주라는 뜻이니까 아침, 저녁 복용 시 3T씩이겠죠 

 

4. AST (after skin test)  피부 항생제 반응검사

항생제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알러지 반응을 검사하는 거에요

경증인 경우 소양감, 구토, 발진 등에서 끝날 수 있지만 심한경우 항생제 투여 후 아낙필라시스 쇼크까지 올 수 있어 위험해요

 

5. transfer (전동, 전원 등 이동이 필요)

pt(patient, 환자) 가 원해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상태가 악화되거나 호전보여 옮기는 경우가 많아요

트랜스퍼 하자고 하면 가지고 있었던 자가약 챙기고 타병원 전원 시 의뢰서, 필요자료 등 준비하면 되요 

 

6. F/U (follow up, 추적관찰)

보통 상태에 크게 변화가 없을 때 의자들이 옵져브 (observation, 관찰) 하자고 많이 해요

그럼 경과관찰해보자는 거에요

I/O (아이오) 체크하자고 하면 먹는양과 나오는 양을 체크하자는 거에요 

물부터 식사량까지 다 확인하고 소변 및 대변량을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보통 소변줄을 달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7. pre OP , post OP  (operation)

수술전, 수술후 라는 뜻인데 pre OP vital 해주세요 하면 수술실 내려가기 전 활력징후 체크해달라는 뜻이에요

pre OP order 확인해주세요 이렇게 말하면 수술전에 필요한 처방 확인해달라는 거에요 

post OP order 도 마찬가지에요. 수액, 수술fee 등 확인해야할 게 많아요

 

8. 수술 후에는 수술부위 확인을 해야하는데 보통 피가 새어나오는 경우는 bleeding, 진물이 새어나오는 경우는 oozing 됐다고 노티하시면 되요

이런경우에는 사이즈 체크도 하고 빈혈수치, 활력징후 측정한 뒤 같이 노티하면 좋겠죠?

 

그 외에도 다양한 용어들이 있는데 많이 듣고 관찰하면서 모르는건 바로바로 물어보시는게 좋아요!

어딜 가든 한달동안은 어떤걸 물어도 다들 당연하게 생각할테니까 너무 걱정마세요!

혼나더라도 꼭 물어보고 처음부터 잘 알고 배우는게 중요하답니다!